'tIPS *'에 해당되는 글 13건

  1. 2014.09.01 PPT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및 개체를 고화질 그림으로 저장하고 싶을때
  2. 2014.08.28 내가 찾는 휴먼명조가 그 휴먼명조가 아니다??! 1
  3. 2014.06.17 Adobe Reader 컨텐트 준비 진행 메시지 2
  4. 2014.05.20 Reverse IP Lookup
  5. 2014.01.21 NH농협카드 개인정보유출 확인 페이지 익스플로러 11 오류시 1
  6. 2010.05.28 USB 장치 하드웨어 안전하게 제거 및 미디어 꺼내기 1
  7. 2010.03.28 Wireless Zero Configuration(WZC)서비스 시작하기
  8. 2009.04.09 사용할 수 있는 활성 믹서 장치가 없습니다... 오류
  9. 2009.03.31 제어판 바로실행 ( 시작-실행 에서 간단히! )
  10. 2009.03.19 윈도우 탐색기 미리보기 기능 없애기

PPT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및 개체를 고화질 그림으로 저장하고 싶을때

tIPS * 2014. 9. 1. 17:20

파워포인트를 포함한 MS오피스 제품에서는, 다른이름으로 저장을 할 때 파일형식으로 그림파일(bmp, jpg, png)등을 기본으로 지원한다.


파워포인트에서 만든 도형 및 개체를 한글에 붙여넣기 할 때나,


다른컴퓨터에서 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다르게 나오는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드를 그림파일로 저장하여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그림으로 저장될 때 해상도(그림크기)가 200dpi급으로 제한되어 있어,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를 그림으로 저장 후 한글에 붙여넣기 하여 인쇄해 보면, 선명하지 않은게 느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그림파일로 저장시 고화질 해상도 그림으로 높이는 방법 )


출처는 MS  http://support.microsoft.com/kb/827745/ko


레지스트리 수정이 필요하므로 주의!!! (다른것 절대 수정하지 말것)



  1. 모든 Windows 기반 프로그램을 종료 합니다.
  2. 시작을 클릭한 다음 실행을 클릭합니다.
  3. 열기 상자에 regedit을 입력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4. 사용 중인 PowerPoint 버전에 따라 다음 레지스트리 하위 키 중 하나를 찾습니다.






    PowerPoint 2013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Office\15.0\PowerPoint\Options
    PowerPoint 2010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Office\14.0\PowerPoint\Options
    PowerPoint 2007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Office\12.0\PowerPoint\Options
    PowerPoint 2003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Office\11.0\PowerPoint\Options
  5. 옵션 하위 키를 클릭 하 고 편집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 를 가리킨 다음 DWORD 값을 클릭 합니다.
  6. ExportBitmapResolution입력 한 다음 Enter 키를 누릅니다.
  7. ExportBitmapResolution 을 선택 하 고 편집 메뉴에서 수정 을 클릭 합니다.
  8. DWORD 값 편집 대화 상자에서 10 진수를 클릭 합니다.
  9. 값 데이터 상자에 300등 원하는 해상도 값을 입력 합니다. 또는 다음 표에 있는 매개 변수를 사용 합니다.

    10 진수 값전체 화면 픽셀 (가로 × 세로)와이드스크린 픽셀 (가로 × 세로)(가로 및 세로) 인치 당 도트 수
    50500 × 375667 × 37550 dpi
    96 (기본값)960 × 7201280 × 72096 dpi
    1001000 × 7501333 × 750100 dpi
    1501500 × 11252000 × 1125150 dpi
    2002000 × 15002667 × 1500200dpi
    2502500 × 18753333 × 1875250 dpi
    3003000 × 22504000 × 2250300 dpi

당연히 최고 해상도로 설정을 하자!! (필요하면 그 후에 줄이면 되니까)


그다음 파워포인트에서 다른이름으로저장 - Png 파일로 하니까 최고 해상도(약 3000x2000) 그림파일로 저장되었다 ^.^


----------------------------------------------------

9.26 내용 추가


위 방법대로 레지스트리 수정하여, 슬라이드를, 다른이름으로 저장(png, jpg 등)으로 그림파일 저장 하였을 때,


일부 왼쪽 윗 부분만 제대로 저장되고, 나머지는 빈 칸으로 저장되는 오류 발견 (전체 그림 크기는 3000x2000 이 맞다)


=> 열심히 해결방안을 찾아 본 결과, 이는 OFFICE 2007 SP1 (서비스팩1)에서 발견된 버그로,


960 픽셀까지만 저장되고 나머지는 잘려서 나온다


해당 화면은

http://www.experts-exchange.com/Software/Office_Productivity/Office_Suites/MS_Office/PowerPoint/Q_23116673.html 글 내에 있는


http://filedb.experts-exchange.com/incoming/2008/01_w05/1912/Slide1.JPG 를 참고.


MS 에서는 이에 대한 버그 리포트를 받고, 서비스팩2에서 반영하여 버그를 수정하였다.


그러므로, SP1 사용자인 경우 위 버그가 발생시, SP2로 업그레이드 해주면 된다.


SP2 다운로드 Microsoft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Default.aspx?kbid=953195





:

내가 찾는 휴먼명조가 그 휴먼명조가 아니다??!

tIPS * 2014. 8. 28. 15:47

특히 관공서 등에서 주로 보고서용 폰트로 사용하고 있는 '휴먼명조'체.


가끔 보고서 수정을 하거나, 다른 과에서 과제취합을 받는 경우 등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분명히 휴먼명조체인데도


내 한글2010 프로그램에서는 아무 폰트 표시가 되어 있지 않고,


내가 휴먼명조로 지정을 하면,


원래 있는 휴먼명조체와 글씨체가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따옴표 (' , ")같은 문자들이 너비가 특수문자1칸을 전체적으로 차지하게 되면서


ㅁ'14 관리과제 가 의도치않게  

ㅁ  '14 관리과제 처럼 표시되는 문제


내가 쓰고싶은 휴먼명조가 그 휴먼명조체가 아닐때!!!!!



원인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휴먼명조체(이것이 내가 찾는 폰트)와,


윈도우에서 가지고 있는 휴먼명조체(C:\windows\fonts폴더에 저장되어 있음)가 둘다 존재할 경우


한글 프로그램에서는 윈도우 폰트를 우선으로 사용하기 때문!!




위 글씨체가 한글 자체 휴먼명조, 아래가 윈도우 휴먼명조




해결방법은 !?


윈도우 폰트 폴더 내에 있는 휴먼명조체 ( HMKMM.TTF ) 파일을 삭제하거나 옮겨 버리면 된다!


윈도우탐색기에서 C:\ Windows \ Fonts 폴더에 들어가서 해당 파일을 찾는다.


파일이름이 아니라 글씨체 이름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면 위에 검색창에 '휴먼명조'를 입력하고 찾아서 삭제한다.

 (일반적으로 '휴먼명조 보통'으로 존재한다)


사용중이라며 삭제가 되지 않을때는 이름변경 후 삭제!



아니면 CMD 창을 이용하여 (윈도우키 + R 후 cmd)


삭제 : del c:\windows\fonts\hmkmm.ttf


안될때는

이름바꾸기 : ren c:\windows\fonts\hmkmm.ttf hmkmm.bak 

그리고 삭제 : del c:\windows\fonts\hmkmm.bak 


그리고 재부팅한 후 한글을 실행시켜 휴먼명조를 확인하면 !! 내가 찾는 휴먼명조!



출처는 : 한글과컴퓨터 홈페이지 FAQ

http://www.hancom.com/faq.faqHcofficeView.do?board_seqno=2708




:

Adobe Reader 컨텐트 준비 진행 메시지

tIPS * 2014. 6. 17. 18:21

Adobe Reader 11 버젼을 사용중,


Pdf 파일을 열면, 파일 내용이 열린 상태에서 '컨텐츠 준비 진행' 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아래와 같은 창이 출력된다.


상당히 오래 걸려 거슬린다. 물론 그냥 취소 버튼을 눌러도 전혀 상관은 없음.




Adobe Reader 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한다.


11버젼의 경우 C:\Program Files\Adobe\Reader 11.0\Reader

9 버젼의 경우 C:\Program Files\Adobe\Reader 9.0\Reader 


하위 폴더 plug_ins 로 이동한다.



Accessibility.api 파일의 이름을 변경해주거나, 삭제한다.



(확장자를 변경해 주는 방안을 선택했다. 추후 문제가 생겼을 시 다시 바꾸면 되니까)



Pdf 파일을 열면, 위 메시지가 출력되지 않고 '읽기 옵션 변경, 읽기 모드..' 등 안내 메시지가 나오는데, 


다시 보지 않음 체크하고 확인을 누르면, 그 뒤로는 절대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

Reverse IP Lookup

tIPS * 2014. 5. 20. 13:08

 

cmd 에서 nslookup 명령어를 이용하면 DNS 이름으로 서버의 IP 주소를 찾을 수 있다.

 

nslookup www.nate.com  => NATE의 서버 IP 주소 : 211.234.241.205

 

 

역으로,

 

211.234.241.205 가 어떤 DNS 에 매칭 되고 있는지 검색??

 

역DNS 검색이라고도 하며,

 

domaintools 라는 사이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http://reverseip.domaintools.com/

 

 

 

 

Lookup Connected Doamins 검색 창에 아이피주소를 넣고 LookUP !!

 

악성코드 및 프로그램 배포 사이트 등

 

하나의 서버 IP를 가지고 여러 개의 DNS 주소들을 등록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들의

 

현황 파악 및 2차 피해 방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듯!

:

NH농협카드 개인정보유출 확인 페이지 익스플로러 11 오류시

tIPS * 2014. 1. 21. 19:40

NH농협카드 개인정보유출 확인 페이지

 

http://card.nonghyup.com/

 

그리고, 개인정보유출 확인 페이지

 

http://www.cheumsketch.co.kr/front/pop/usrInfoCheck00.jsp

 

 

그러나 농협카드 홈페이지에서는 Explorer 계열의 브라우저만 지원한다.

 

최신 익스플로러11 (Explorer 11) 버젼 사용자는 Explorer를 사용중임에도,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개인정보가 유출 된 것도 짜증나 죽겠는데, 익스플로러를 사용중임에도 익스플로러로 접속하라는 메시지.

 

한번 참고,

 

브라우저의 옵션 메뉴에 - 호환성 보기 설정을 클릭

 

 

 

 

유출정보확인 사이트 도메인인 cheumsketch.co.kr 을 추가

 

 

 

 

그리고 다시 접속하여 개인정보유출 조회 서비스 사용

 

 

 

 

내가 아는 나의 정보보다 더 많이 털려 나간것을 생각하면, 화만 솟구친다.

 

2012년 10월에 빼냈다는데, 지금은 2014년. 원본 파일을 회수 했다는 것을 어떻게 장담하지?

:

USB 장치 하드웨어 안전하게 제거 및 미디어 꺼내기

tIPS * 2010. 5. 28. 13:50
 트레이의 하드웨어 안전하게 제거 아이콘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검색결과, 바탕화면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 눌렀을 때 나오는 메뉴에 등록하는 방법이 있음.

 시작-  실행 ( 또는 윈도우키 + R ) - Regedit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킨다 )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 

 로 이동한다.

 Shell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새로만들기 - 키 클릭하여 메뉴에서 나타날 이름을 정한다

 


ex ) '하드웨어 안전하게 제거' 

 그 후 새로 만든 키를 다시 오른쪽 클릭하여 새로만들기 - 키 . 이름은 command 로 한다.



 그 다음 우측 창에 있는 이름이 '기본값'인 REG_SZ 형식의 문자열을 더블클릭하여 그 값을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hotplug.dll
 로 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 창을 닫는다.


 이제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단추를 눌렀을때 나타나는 메뉴에

 등록된 것을 볼 수 있다.




 클릭하여 실행해 보면,



 머리가 좋다면, cmd 라인으로 RunDll32.exe shell32.dll,Control_RunDLL hotplug.dll
 을 외우고 있으면 된다 .ㅎ

 
:

Wireless Zero Configuration(WZC)서비스 시작하기

tIPS * 2010. 3. 28. 18:54

 Windows 에서 이 무선 연결을 구성할 수 없습니다.

다른 프로그램에서 이 무선 연결을 관리하도록 설정한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십시오.

Windows에서 이 무선 연결을 구성하도록 하려면 Wireless Zero Configuration(WZC)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WZC 서비스 시작에 관련된 자세한 정보는 Microsoft 웹 사이트에서 기술 자료 문서 871122를 찹조하십시오.


 다른 프로그램에서 무선 연결을 관리하고 있거나 ( Wibro , NESPOT 혹은 기타 무선 관리 프로그램 )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가

시작되지 않았을 시 나타나는 메시지이다.

해결 방법으로는

1. 시작 - 실행 (윈도우키 + R )

2. Wireless Zero Configuration 항목을 찾는다.

3. 서비스 시작 을 눌러 준다 ~! ^.^
:

사용할 수 있는 활성 믹서 장치가 없습니다... 오류

tIPS * 2009. 4. 9. 23:01

Jeongdy


곰플레이어 , KMP 등의 플레이어 에서 파일을 재생할 때에는 , 코덱 문제로 뜨거나
소리가 전혀 나오지 않으며,

트레이의 시계 옆 볼륨 아이콘을 더블클릭할시, "사용할 수 있는 활성 믹서 장치가 없습니다. 믹서 장치를 설치하려면 제어판에서 [프린터 및 기타 하드웨어]를 클릭한 다음 [하드웨어 추가]를 클릭하십시오. 이 프로그램을 닫습니다." 라는 오류 메시지가 뜬다.
하지만 이때에도 분명 "띵~" 하는 소리는 들린다.

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운드 서비스를 사용한다음 반환할 때 문제가 생겨
Windows Audio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지 못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재부팅하면 쉽게 해결 할 수 있지만,

더 쉬운 방법으로는

시작- 실행 - services.msc

Jeongdy

'서비스'를 실행한 후

Jeongdy

Windows Audio 서비스 '시작' 버튼을 눌러 주면 된다. ^^

:

제어판 바로실행 ( 시작-실행 에서 간단히! )

tIPS * 2009. 3. 31. 21:19

제어판 바로실행 명령어

Contrl Panel의 약자로, 제어판에 나타나는 설정 항목 파일이며, EXE파일과 같이 실행이 가능하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항목의 파일인 desk.cpl파일은 더블 클릭하면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가 실행된다. 각 제어판의 항목과 해당 CPL파일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시작- 실행 ( 또는 윈도우키 + R ) 에서 해당 CPL파일을 넣어 실행하면 
제어판에 들어가서 여러번 클릭이 필요없이 해당 설정 항목으로 이동가능하다.

 

control  제어판
Access.cpl  내게 필요한 옵션
appwiz.cpl   프로그램 추가/제거
bthprops.cpl   블루투스장치설정
desk.cpl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firewall.cpl   Windows방화벽
hdwwiz.cpl   새하드웨어추가마법사
inetcpl.cpl   인터넷 등록정보
intl.cpl   국가 및 언어옵션
irprops.cpl   적외선포트 설정
joy.cpl   게임컨트롤러
main.cpl   마우스등록정보
mmsys.cpl   사운드및 오디오장치등록정보
ncpa.cpl   네트워크연결
netsetup.cpl   네트워크설정마법사
nusrmgr.cpl   사용자계정
nwc.cpl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odbccp32.cpl   ODBC데이터원본 관리자
powercfg.cpl    전원옵션 등록정보
sysdm.cpl   시스템등록정보
telephon.cpl   전화및모뎀 옵션 
timedate.cpl   날짜 및 시간 등록정보
wscui.cpl   Windows 보안센터
wuaucpl.cpl   자동업데이트
Sapi.cpl   텍스트 음성 변환설정
control Admintools   관리도구
control Folders   폴더옵션
control Userpasswords   사용자 계정


관리콘솔 명령어

certmgr.msc : 인증서
ciadv.msc : 인덱싱서비스
ntmsmgr.msc : 이동식저장소
ntmsoprq.msc : 이동식저장소 운영자 요청
secpol.msc : 로컬보안정책
wmimgmt.msc : WMI(Windows Management Infrastructure)
compmgmt.msc : 컴퓨터 관리
devmgmt.msc : 장치관리자
diskmgmt.msc : 디스크 관리
dfrg.msc : 디스크 조각모음
eventvwr.msc : 이벤트 뷰어
fsmgmt.msc : 공유폴더
gpedit.msc : 로컬 컴퓨터 정책
lusrmgr.msc : 로컬 사용자 및 그룹
perfmon.msc : 성능모니터뷰
rsop.msc : 정책의 결과와 집합
secpol.msc : 로컬 보안설정
services.msc : 서비스
C:\WINDOWS\system32\Com\comexp.msc : 구성요소서비스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1.1.4322\mscorcfg.msc : .NET Configuration 1.1

 

기타 실행 명령어

cmd : 도스명령프롬프트 실행,  단, 윈98은 command
shutdown -i : GUI화면으로 시스템 종료, 재부팅 가능
shutdown -a : 종료 설정 중지
netstat : 인터넷 접속 상황
ipconfig /all :  ip주소,게이트웨이,서브넷마스크, DNS서버주소,physical주소
dxdiag : 다이렉트 - X 상태 정보 화면
cleanmgr : 디스크 정리
regedit  : 레지스트리 편집기
netsetup :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

calc : 계산기
charmap : 문자표


pbrush , mspaint  : 그림판

cleanmgr : 디스크정리
clipbrd : 클립보드에 복사된 내용 표시
control : 제어판
dxdiag : 다이렉트X 진단도구 및 그래픽과 사운드의 세부정보를 보여줌
eudcedit  : 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
explorer : 탐색기
magnify : 돋보기


osk : 화상키보드

winmine : 지뢰찾기

sndrec32 녹음기

wordpad : 워드패드

sndvol32 : 시스템 사운드 등록정보,볼륨조절
sysedit : autoexec.bat, config.sys, win.ini, system.ini 시스템구성편집기
systray : 사운드 볼륨설정 노란색 스피커 아이콘을 트라이목록에 띄움

mobsync : 동기화
msconfig : 시스템 구성요소 유틸리티

msinfo32 : 시스템정보
mstsc : 원격 데스크톱 연결
netstat -na : 현재 열린포트와 TCP/IP 프로토콜정보를 보여줌, 열린포트로 트라이목마형 바이러스 침투 유무확인가능
notepad : 메모장
ntbackup : 백업 및 복원 마법사
ping 사이트주소 : 핑테스트 해당 사이트의 인터넷연결 유무 확인
sfc : 시스템 파일 검사기. 시스템 파일을 검사한후 깨지거난 손실된 파일을 원본 압축파일에서 찾아서 복원시켜줌 . 단, 윈2000에서는 cmd실행 후 sfc사용 - 마지막 설정된 값을 다음 윈도우부팅시 곧바로 실행됨[수정]
telnet open 사이트주소 : 텔넷접속명령어
tourstart : 윈도우 기능안내 html 문서표시
wab : 주소록
winipcfg : 인터넷에 접속된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보여줌) 단, 윈2000은 ipconfig로 변경됨
winver : 윈도우 버전확인
wmplayer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wupdmgr : 윈도우업데이트

:

윈도우 탐색기 미리보기 기능 없애기

tIPS * 2009. 3. 19. 11:50

탐색기에서 동영상 파일 등의 미리보기 기능 때문에
익스플로러 오류가 나서 자꾸 종료될 때가 있다.

그럴 때에는 미리보기 기능을 해제해 주면 오류가 나지 않는다.
특별히 필요한 기능은 아니고 괜히 폴더 이동시 리소스만 잡아먹어
상당히 컴퓨터가 느려지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약간 빨라지는것을 느낄 수 있다.

*미리보기 기능 다시 살리기

시작 -> 실행을 클릭하셔서 실행창을 여신 후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신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SystemRoot%/System32/regsvr32 /s %SystemRoot%/System32/shmedia.dll

폴더나 탐색기를 재실행 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기능 없애기

시작 -> 실행을 클릭하셔서 실행창을 여신 후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신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SystemRoot%/System32/regsvr32 /s /u %SystemRoot%/System32/shmedia.dll

마찬가지로 폴더나 탐색기를 재실행 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